1월 19(수), 글로벌 핫이슈입니다. 미국 3대 지수가 동반 하락했습니다. 낙폭이 커진 이유는 (1) 실적우려, (2) 국채금리 강세 속에서 주요 대형 기술주들이 하락 압박을 받으면서 빠졌습니다. 주요 내용 살펴보겠습니다.
※ 주요 헤드라인
美 10년물 국채금리 1.85% 돌파, 2년래 최고
美 1월 엠파이어스테이트지수 -0.7, 예상 대폭 하회
美 1월 주택시장지수 83. 예상하회
WTI, 중동 긴장 고조에 85달러 돌파, 2014년 이후 최고
도이치방크 "3월 FOMC 회의서 금리인상 가능성 높아"
美 상원, 2월초 Fed 지명자 인준 청문회 예정
MS, 액티비전 블리자드 687억 달러에 인수
美 우주항공 기업, 지난해 약 145억 달러 투자 유치
1. 美 올해 임금 인상률 3.4% 상승 예상
임금 인상률이 높아지는 원인 중 하나는 바로 "인플레이션" 입니다. 미국은 21년 한해 450만명이라는 퇴사자를 기록했는데, 이에 따라 구인난을 해결하기 위해 평균 3% 이상의 임금인상을 진행한 바 있습니다. 그런데 올해 또 오른다고 하니 이를 통해 사회 현상 및 경제적인 사항에 대해 알아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실적시기 유망 종목
(1) 유나이티드항공 : 1월19일 실적발표입니다. 취소된 항공편들로 인한 손해는 얼마인지, 비행에 돌아오는 기업과 고객들이 어느정도 되는지 등 세부사항들이 발표될 예정입니다. 더불어 보잉787 납품 중단으로 인한 영향은 어느정도 인지 실적 발표때 관심있게 봐야겠습니다. 국내 대한항공, 저가항공 등 주가를 연관지어 살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제네럴일렉트릭 : 시티은행이 뽑은 이번 1분기 수혜주 입니다. 인플레이션과 리오프닝 같은 외부적인 사항과 기업 내부적인 사항 모두 유망하다고 평가 받고 있다고 합니다. 주가는 올해 2주동안 9% 가량 상승 중입니다.
(3) 애플 : 현재 주가 $170 이지만 미국 증권사 목표치는 $191가 제시되기도 했습니다. 올해 주가는 2% 빠지고 있지만, 국채금리 상승에 대한 악재가 점차 사라질 때 쯤 대형 기술주의 반등과 더불어 상승할 것입니다.
(4)시그니쳐뱅크 : 모건스탠리가 중형주 수혜주로 뽑은 종목입니다. 회사 비즈니스 모델이 독특하다라는 평가를 받았고, 특히 암호화폐를 발빠르게 도입한 점이 크게 주목을 받았다고 합니다.
(5) 타이슨푸드 : 미국의 대형 육가공 업체입니다. 투자은행 스티븐스 선택을 받았는데, 지난해 주가는 45% 상승했습니다.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마진 강세가 계속되면서 달고기 같은 가공식품의 마진도 강세라는 점이 주목받았습니다.
3. 원자재 시장
원자재 슈퍼사이클이 오고 있다는 전망입니다. 에너지, 국제유가 섹터가 요즘 강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오늘 미국장이 상당히 많이 빠졌지만 원자재 가격의 국제기준 'CRB지수' 를 이끌고 있는 WTI와 브랜트유는 상승으로 치고 올라가고 있습니다. 3가지 요인을 살펴봐야합니다. (1) 오펙 플러스 (OPEC+) 증산으로 1일 40만배럴를 증산하겠다고 선언했는데, 시장에 약속한 만큼 이행될지를 살펴봐야합니다. (2) 오미크론 이슈로 오미크론 우려속에서 시장에서 소비를 일어나는지, 구체적인 숫자지수를 끌어 당기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3) 지정학적 리스크입니다. 카자흐스탄은 168만배럴를 생산하고 있는데 정치적으로 상당히 불안한 시국이라는 점인데, 러시아가 만약에 카자흐스탄을 무력으로 공격한다면 이런 상황에 유가는 $100 이상 치고 올라갈 수 있다고 합니다. 다음은 농산물 연초 대비 변동률입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4. 세기의 딜' 마이크로소프트, 액티비전 블리자드 82조에 인수
마이크로소프트(MS)가 게임 개발사 액티비전 블리자드(블리자드)를 약 687억달러(약 82조원)에 인수했다는 소식입니다. ICT 업계 최대 규모 인수합병(M&A)으로 MS는 중국 텐센트, 일본 소니에 이어 세계 3위 게임 회사로 떠오르게 되었습니다. 블리자드는 ‘캔디 크러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콜 오브 듀티’, ‘오버워치’ 등 인기 게임 개발사입니다.
MS는 현재 모바일, PC, 콘솔, 클라우드 전반에 걸친 게임 사업 성장을 가속화 시키고 있습니다. 팬데믹 계기로 급부상한 '메타버스' 사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하면서 그 중심에 '게임'이라는 핵심 분야가 있는 것 같습니다. 메타로 사명을 바꾼 페이스북처럼 게임과 연계한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에 사활을 걸 것 같습니다.
'기업, 경제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뉴스] 1월21일(금) 글로벌 핫이슈 (0) | 2022.01.21 |
---|---|
[경제뉴스] 1월18일 글로벌 핫이슈 (0) | 2022.01.18 |
[경제뉴스] 1월17일(월) 글로벌 핫이슈 (0) | 2022.01.17 |
[경제뉴스] 1월14일(금) 글로벌 핫이슈 (0) | 2022.01.14 |
[경제뉴스] 1월13일(목) 글로벌 핫이슈 (0) | 2022.01.14 |